반응형
잘못된 정보나 과도한 뉴스가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설명하는 신조어로 잘못된 정보나 소문이 미디어 등 매체를 통해 빠르게 확산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코로나를 겪으면서 너무 많은 정보도 문제가 될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을 가졌습니다. 게다가 근거가 비약하거나 없는 정보, 자극적인 허위정보 등이 SNS를 통해서 퍼지는 것을 목격할 수 있었습니다.
허위정보이고 신뢰성없는 정보임에도 불구하고 누군가는 믿고 피해를 보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아직도 몇 년전에 시작된 교통단속, OO에 좋은 O가지 비법 등 허위 정보가 간혹 톡으로 들어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을 전파하는 사람은 믿기 때문에 자신의 지인들에게 다시 전송하는 것이겠죠? 시간낭비이고, 인터넷 낭비입니다.
이렇게 잘못된 정보나 과도한 뉴스가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설명하는 신조어가 있으니, 바로 정보(information)과 전염병(epidemic)이 합쳐져서 만들어졌습니다.
인포데믹
잘못되거나 과도한 정보가 빠르게 퍼지면서 사회적 혼란이나 불안, 혼동을 일으키는 현상으로 정치적 선동(프로파간다), 전염병, 테러 등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공식적인 채널을 통해서 확인된 정보만 취사선택하려는 판단력이 필요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