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으로 단순 표시되는 성장률을 의미하며, 나라 살람살이의 바탕이 되는 세수 예측 등에 사용되고는 했는데 최근 들어서는 가계부채 총량관리 지표로 자리매김한 것은?
경제성장에 따라 다양한 비율 지표가 등장합니다.
작년 또는 직전녀도와 비교해서 올해에는 어느 정도의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봅니다. 대부분 플러스이길 희망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가격으로 단순 표시되는 성장률도 있고, 물가 상승률을 반영한 성장률도 있습니다.
지금부터 살포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만약에 한 나라의 2024년 국내총생산이 100조 원이었고, 그 나라의 2025년 국내총생산이 110조 원이라면 경상성장률은 10%가 됩니다. 그런데 물가 상승률이 5%였다면 실제 성장률은 5%가 됩니다.
앗 벌써 정답이 공개 되었네요.
가격으로 단순 표시되는 성장률을 의미하며, 나라 살람살이의 바탕이 되는 세수 예측 등에 사용되고는 했는데 최근 들어서는 가계부채 총량관리 지표로 자리매김한 것은 바로 경상성장률(Nominal Growth Rate)입니다.
정부의 재정, 세금 등에 있어서 경상성장률이 직접적인 지표가 됩니다. 왜? 세수는 명목 소득 기준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잘 알아야 합니다. 간혹 경상성장률이 많이 높아졌다고 해서 마냥 좋아할 일이 아닙니다.
물가가 많이 올랐다면 실질성장률은 떨어질 수 있으니까요.
간혹 월급은 올랐는데 막상 쓸 돈이 없다고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명목소득 상승으로 인한 경상성장률은 높아졌지만, 물가 인상이 많아 실질성장률은 떨어졌다고 표현할 수 도 있을 것 같습니다.
요즘 경제, 경기가 많이 어렵습니다. 확 펴지는 날은 없겠지만 구름이라도 걷혀졌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