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4절기는 ? 그리고 네 번째에 해당하는 3월 20일에 해당하는 절기는? 태양이 적도를 정확히 통과하는 시점으로 낮과 밤의 길이가 거의 같아지는 날입니다.
힌트 2025년 3월 20일부터 본격적으로 낮이 점점 길어지고 밤이 짧아지기 시작하는 절기입니다.
24절기는 음력으로 알고 계신데, 실제로는 양력입니다.
더불어 초복, 중복, 말복을 절기로 오해하는 분들이 있던데요 이들은 절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평소에 우리가 알고 있는 절기 중에 하나입니다.
입춘, 춘분, 입하, 하지, 입추, 입동, 동지, 소한, 대한은 어느 정도 익숙한 절기입니다.
일단 2025년 3월 20일은 24절기 중 네 번째에 해당하는 춘분입니다.
봄이 오고, 여름이 오고, 가을이 오고, 겨울이 오고, 밤이 제일 깊고, 추위가 시작되고 가장 큰 추위 정도이죠.
이외에도 다양한 절기가 있는데 대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2025년 24절기에 해당하는 날짜를 살펴보겠습니다.
봄 (입춘 ~ 곡우)
입춘(立春) - 2월 3일
우수(雨水) - 2월 18일
경칩(驚蟄) - 3월 5일
춘분(春分) - 3월 20일
청명(淸明) - 4월 4일
곡우(穀雨) - 4월 20일
여름 (입하 ~ 대서)
입하(立夏) - 5월 5일
소만(小滿) - 5월 21일
망종(芒種) - 6월 5일
하지(夏至) - 6월 21일
소서(小暑) - 7월 7일
대서(大暑) - 7월 22일
가을(입추 ~ 상강)
입추(立秋) - 8월 7일
처서(處暑) - 8월 23일
백로(白露) - 9월 7일
추분(秋分) - 9월 22일
한로(寒露) - 10월 8일
상강(霜降) - 10월 23일
겨울(입동 ~ 대한)
입동(立冬) - 11월 7일
소설(小雪) - 11월 22일
대설(大雪) - 12월 7일
동지(冬至) - 12월 22일
소한(小寒) - 2026년 1월 5일
대한(大寒) - 2026년 1월 20일
그리고 몇몇 절기는 농사와 일상생활과 관련된 속담을 가지고 있습니다. 선조들의 지혜가 녹아들어 있습니다.
한 번 볼까요?
입춘(立春) : "입춘이 지나면 대동강 물도 풀린다."
우수(雨水) : "우수 경칩에 대동강 물도 풀린다."
경칩(驚蟄) : "경칩에 개구리가 놀란다."
청명(淸明) : "청명에는 부지깽이를 꽂아도 싹이 난다."
곡우(穀雨) : "곡우에 비가 오면 풍년 든다."
대서(大暑) : "대서에는 쇠도 녹는다."
입추(立秋) : "입추가 지나면 귀뚜라미 울음소리가 들린다."
처서(處暑) : "처서에 비가 오면 독의 곡식도 준다."
상강(霜降) : "상강 지나면 무서리 온다."
입동(立冬) : "입동이 지나면 김장도 해야 한다."
동지(冬至) : "동지 팥죽을 먹어야 잡귀가 물러간다."
소한(小寒) : "대한이 소한의 집에 가서 얼어 죽었다."